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찬바람이 불어야만 맛볼 수 있는 서해 별미, 바로 새조개입니다. <br> <br>코로나로 이 새조개 축제도 중단됐었는데, 3년만에 재개되면서 지역 경제에 활력소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어른 주먹만 한 껍데기를 비틀었더니 탱탱한 속살이 나옵니다. <br> <br>모양이 뾰족한 새 부리를 닮아 이름 붙여진 새조개입니다. <br> <br>찬바람 부는 겨울이 제철입니다. <br> <br>[남영우 / 전북 익산시] <br>"변함없네요. 맛있는 건. 입에서 살살 녹고 목 넘김이 굉장히 부드럽고 좋아요." <br><br>kg당 7만~8만 원 정도로 다른 조개에 비해 비싸지만, 입에 꽉 차는 쫄깃한 식감 때문에 겨울철 별미로 통합니다. <br> <br>[손흥균 / 전북 익산시] <br>"먹어봐야 아는데 맛은, 진짜 맛있어요. 연하고 달고."<br> <br>2003년 1000여 톤을 정점으로 2012년부터 8년간 천수만에서 잡힌 새조개는 매년 1톤도 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2016년 충청남도가 인공부화에 성공하면서 종패를 바다에 방류하며 어획량이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2019년에는 30만 패, 2021년에는 50만 패를 풀었습니다. <br> <br>[정상운 / 남당항 새조개축제위원장] <br>"하루에 100~200 kg 나오던 것이 지금은 하루에 700~800 kg 나오니까 굉장히 좋아졌죠." <br> <br>특히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멈췄던 대면 축제도 3년 만에 재개됐습니다. <br> <br>[김춘홍 / 새조개 상인] <br>"3년 만에 했잖아요. 코로나 때문에 애로사항 엄청 많았는데 사람이 많이 오니까 춤추고 싶어요." <br><br>쌀쌀한 바람과 함께 돌아온 새조개가 코로나19 여파로 움츠러든 지역 상권에 활력소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박영래 <br>영상편집:이희정<br /><br /><br />김태영 기자 liv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