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북한인권특사에 줄리 터너 국무부 과장 지명 <br />바이든, 북한의 전례 없는 도발 상황 속 특사지명 <br />핵·미사일 문제와 함께 인권문제 적극 제기할 듯<br /><br /> <br />미국 정부가 지난 6년간 공석이었던 북한인권특사를 지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북한의 핵·미사일 문제와 함께 인권문제를 적극 제기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힙니다. <br /> 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국무부 민주주의·인권·노동국의 줄리 터너 동아시아·태평양 담당 과장을 대사급인 북한인권특사로 지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터너 지명자는 상원의 임명동의를 거쳐야 합니다. <br /> <br />터너 지명자는 널리 알려진 인물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터너 지명자가 국무부 민주주의·인권·노동국에서 16년 이상 근무했고, 북한인권특사의 특별보좌관을 지내는 등 주로 북한 인권 증진과 관련한 문제에 초점을 맞춰왔다고 설명했습니다 <br /> <br />현 직책 이전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, NSC에서 동남아시아 담당 보좌관을 지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인권특사는 미국 정부의 북한 인권정책 수립과 집행 전반에 관여하는 대사급 직책으로, 2004년 10월 발효된 '북한인권법'에 따라 신설됐습니다. <br /> <br />2005년 8월 선임된 제이 레프코위츠 초대 북한인권특사는 개성공단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환경에 의문을 제기하고 북핵 6자회담과 인권문제의 연계를 주장하는 등 북한 인권상황을 정면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미 하원 국장을 지낸 로버트 킹 특사가 오바마 행정부 시기인 2009년 11월부터 2017년 1월까지 7년여간 재임했으며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 6년간 공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가 인권을 외교 정책 전면에 두겠다고 선언했음에도 북한 인권 문제를 소홀히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이 지난해 대륙간탄도미사일을 포함해 전례 없이 많은 수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도발을 감행하고 7차 핵실험 준비까지 마친 상황에서 6년간 공석이던 북한인권특사를 지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앞으로 북한의 핵·미사일 문제와 함께 인권문제를 적극 제기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힙니다. <br /> <br />YTN 김원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원배 (wb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12412231526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