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로스앤젤레스 총격 사건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미국에서도 또 60대 노동자가 총기를 난사해 7명이 사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겨우 이틀 만에 많은 사상자를 낳은 총격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며 미국 사회의 경각심도 커지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샌프란시스코에서 남쪽으로 48km 떨어진 도시 해프문베이 외곽의 한 농장. <br /> <br />오후 2시 반쯤 60대 노동자가 총기를 난사해 7명이 사망하고 1명이 크게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 언론은 버섯농장과 트럭 운송업체에서 각각 총격이 발생했다고 보도했지만, 범행 장소가 어디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67살의 용의자 자오춘리는 별다른 저항 없이 현장에서 경찰에 체포됐습니다. <br /> <br />[크리스티나 코퍼스 / 산마테오 카운티 보안관 : 자오(용의자)는 사고 없이 구금됐고 그의 차량에 반자동 권총이 있었습니다. 용의자 혼자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추정되며 이 지역에 더이상 위협이 되지 않는 것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 로스앤젤레스 총격 사건의 여파가 가시기도 전에 또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하며 미국 사회가 다시 한 번 충격에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희생자들은 중국인 농장 일꾼들이라는 현지 보도도 있었지만, 아직 수사당국에 의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뚜렷한 범행동기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일하는 곳에서 모종의 불만을 품고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 총기 문제는 사회적 고질병으로 번진지 오래지만, 올해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총기 사고가 빈발하며 경각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데이브 파인 / 산마테오 카운티 감독 위원회 회장 : 이 나라의 총기 폭력은 완전히 용납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. 오늘 밤 정말 충격을 받았습니다.] <br /> <br />올해 1월부터 23일까지 단 3주 동안 미국에서 총기 관련 사건 사고로 숨진 사람은 자살을 포함해 2천 명을 훌쩍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총격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총기를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지만, 번번이 좌절됐습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을 비롯한 보수 진영이 총기 규제에 반대하는 데다 총기업계의 막강한 로비 역시 법과 제도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또 총을 소지해야 안전하다는 미국인들의 총기문화도 넘기 힘든 벽으로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선희 (sunn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12422433546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