차가운 북극 공기가 우리나라로 내려오면서 유난히 추운 겨울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하지만 도시가스와 전기 요금 등이 크게 올라, 난방비를 아끼기 위한 여러 방법을 골몰하시는 분들 많은데요, <br /> <br />방한용품 판매도 예년보다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김태원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응암동에 있는 마트입니다. <br /> <br />[엥커] <br />김 기자 뒤로 방한용품이 보이는데, 판매량이 얼마나 늘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제 뒤로 보이는 곳은 대형 마트의 방한용품 판매대입니다. <br /> <br />창문을 통해 냉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문풍지와 단열 시트의 경우 이번 달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0% 가까이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내복과 전기요는 지난해 1월보다 70% 더 팔려나갔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대형 마트에서도 문풍지와 핫팩, 온풍기 등 방한용품 판매량이 1년 전에 비해 40%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많은 사람이 방한용품을 찾게 된 건 최근 들어 난방 요금이 부쩍 올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, 1년 사이 도시가스 요금은 36%, 지역난방비는 34%, 또 전기요금은 18.6%씩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게 고스란히 반영된 이른바 '난방비 폭탄' 고지서를 받아들자 이번 달 기록적인 한파가 찾아왔는데도, 쉽사리 난방 온도를 올리지 못하고 방한용품에 기대는 경우가 많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이럴 때일수록 더욱 어려운 건 저소득층이나 노인 1인 가구 등 에너지 취약계층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분기 기준 소득 상위 20%의 가구 연료비는 16만 7천여 원으로 전체 소득의 2%에 그쳤지만, 소득 하위 20%가 연료비로 지출한 금액은 10만여 원으로 전체 소득의 12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지자체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정부는 취약계층에게 지급하는 에너지 바우처 지원금을 올겨울 기존 15만 2천 원에서 30만 4천 원으로 2배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도 346억여 원을 들여 저소득 가구와 노인·아동 복지시설에 난방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 역시 쉼 없이 올라가는 난방비에 대응하기엔 역부족입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, 최근 불어닥친 북극발 한파를 막기 위해 아무래도 가스와 전기를 더 쓸 수밖에 없어 다음 달 날아올 1월 난방비 고지서는 서민들에겐 한겨울 추위만큼 가혹할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 응암동에 있는 마트에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원 (woni04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2710432655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