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주 유난히 추운 겨울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도시가스와 전기 요금 등이 워낙 크게 뛰어, 마음 놓고 실내 난방을 하기도 어려우실 텐데요, <br /> <br />대신 방한용품으로 추위를 막아서 난방비를 아껴 보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방한용품을 판매하는 마트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김태원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응암동에 있는 마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방한용품 판매량이 예년보다 얼마나 늘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제 옆으로 방한용품을 진열한 판매대가 보이실 텐데요, <br /> <br />창문을 통해 냉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문풍지와 '뽁뽁이'로 불리는 단열 시트의 경우 이번 달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0% 가까이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내복과 전기요는 1년 전보다 70% 더 팔려나갔는데요, <br /> <br />최근 몰려온 한파를 맞아, 이불을 새로 사러 마트를 찾은 시민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박 진 / 서울 응암동 : 2배 정도 올랐어요, 난방비가. 고지서 보고 깜짝 놀랐죠. 난방비 걱정이 많이 돼서 보일러를 계속 온도를 높일 수가 없으니까 이불을 하나 더 사러 왔어요.] <br /> <br />다른 대형 마트에서도 문풍지와 핫팩, 온풍기 등 방한용품 판매량이 1년 전과 비교해 30~40%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많은 사람이 방한용품을 찾게 된 건 최근 난방 요금이 부쩍 올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, 1년 사이 도시가스 요금은 36%, 지역난방비는 34%, 또 전기요금은 18% 넘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요금 상승분이 고스란히 반영된 이른바 '난방비 폭탄' 고지서를 받아든 시민들이 이번 달 기록적인 한파가 찾아왔는데도, 쉽사리 난방 온도를 올리지 못하고 방한용품에 기대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저소득층이나 노인 1인 가구 등 에너지 취약계층이 받는 타격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분기 기준 소득 상위 20%의 가구 연료비는 16만 7천여 원으로 전체 소득의 2%에 그쳤지만, 소득 하위 20%가 연료비로 지출한 금액은 10만여 원으로 전체 소득의 12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지자체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정부는 취약계층에게 지급하는 에너지 바우처 지원금을 올겨울 기존 15만 2천 원에서 30만 4천 원으로 2배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도 346억여 원을 들여 저소득 가구와 노인·아동 복지시설에 난방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원 (woni04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2716020383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