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에는 오랫동안 말로만 전해지던 고려 시대 사찰 터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사유지인 이곳을 최근 발굴한 결과 금동다층소탑 등 유물과 함께 중국 북송시대 동전꾸러미가 발견돼 이곳이 11세기에 조성된 사찰 터라는 게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경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주시 오등동에 위치한 고려 시대 사찰 터입니다. <br /> <br />사유지인 이곳은 따로 문헌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지만 예부터 '절왓' 또는 '불탄 터'로 불렸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문화재연구원이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유적 발굴 조사를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여름부터 800여 제곱미터를 조사한 결과 해당 부지에 실제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사찰 건물 있었던 흔적인 건물지 5동이 발견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서 사찰의 창건 시기 등을 추정할 수 있는 동전 꾸러미와 금동다층소탑 등 각종 유물들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서는 중국 북송시대에 만들어진 함평원보 등 동전꾸러미가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토대로 연구원은 해당 절터의 조성 시기를 11세기 전기에서 중기 사이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사리를 보관했던 것으로 보이는 금동다층소탑도 발견됐는데, 제주에서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금동다층소탑은 대부분 우연히 발견돼 출처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은데 반해 이번에 발견된 건 출토지가 정확하고 탑 모형이 비교적 잘 보존돼 있어 목조 건물이 많은 고려시대 건축사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이영철 / (재)대한문화재연구원장 : 기록에도 있긴 하지만 실체적인 근거는 고려 시대 건축사 관련해서는 자료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. 이번에 출토된 금동다층소탑은 창문이라든가 기와라든가 그런 표현이 세세하게 잘 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지금까지 발견된 유물들은 이후 문화재청의 추가 조사 등을 통해 보존이나 문화재 지정 여부가 결정됩니다. <br /> <br />[이재열 / 국립제주박물관장 : (전문가 의견을 고려해) 문화재청에서 결정되면 제주도와 함께 보존, 보호조치 방안 그리고 절터에 대한 확장 조사 여부 등을 결정해서 (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).] <br /> <br />구전으로만 전해졌던 고려 시대 오등동 사찰의 실체가 확인된 가운데 문화재 지정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KCTV뉴스 김경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경임kctv (yerin718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12805495799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