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도체 실적 부진으로 고전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다음 달 초에 나올 신형 스마트폰으로 반전을 노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로 스마트폰 수요 회복이 더디고, 애플과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어 전망이 밝지만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신형 모델인 갤럭시S23 출시를 앞둔 스마트폰 매장. <br /> <br />아직은 지난해 8월에 나온 폴더블폰이 최신 기기입니다. <br /> <br />일반 스마트폰에 비해 최대 60% 정도 비싸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화면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, 휴대가 간편해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하민호 / 삼성전자 디지털플라자 지점장 : 폴더블 단말기나 플립형 단말기같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단말기를 많이 선호하시는 것 같고, 카메라 기능이 더 강화된 프리미엄 제품을 찾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폴더블폰이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.3%, 아직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다음 달 초에 나올 갤럭시 S시리즈 신형 모델의 흥행 성적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해 4분기 어닝 쇼크에 이어 올해 상반기까지는 메모리 반도체의 부진이 예상돼 모바일 부문이 힘을 내야 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세계적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올해도 스마트폰 시장의 침체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2021년 14억 대에서 지난해 12억 4천만 대로 11% 감소했으며, 올해는 12억 6천만 대로 소폭 회복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경희권 /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: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30개월이 넘어가기 때문에 2021년에 수요가 많이 늘었다고 하면 적어도 2년 이상은 봐야 회복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(생각합니다.)] <br /> <br />삼성전자는 새로 출시될 갤럭시S 제품에는 성능이 우수한 최신 퀄컴 칩을 탑재해 애플과 정면승부에 나설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비용 증가에 따른 출고가 인상을 감수하고서라도 프리미엄 시장에서 겨뤄보겠다는 전략입니다. <br /> <br />[이윤정 /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연구위원 : 물량으로 크게 성장세를 기대하기 어려운 지금 스마트폰 시장이기 때문에 고 수익성 위주의 모델들로 전략을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서….] <br /> <br />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스마트폰 최상위 모델에 대한 수요는 여전하지만, 삼성전자의 실적 전반을 견인하기에는 역부족이란 평가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하반기 이후 경기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12906265030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