더 혹독해진 저소득층 겨울나기…공공요금도 줄인상 예고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폭등한 난방비 때문에 이번 겨울 서민들 살림살이가 더 팍팍해졌죠.<br /><br />실제로 저소득층일수록 한겨울 살림살이가 더 힘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난방비 말고도 대중교통과 상하수도 요금까지 인상이 예고돼 서민 가계부담이 더 심각해질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저소득 취약계층에게 겨울은 혹독한 계절입니다.<br /><br />소득이 늘어날 일은 적은데, 난방비처럼 안 쓸 수 없는 지출은 늘어나는 탓입니다.<br /><br />지난 3년간 한겨울이 포함된 1분기 가계지출 통계를 내보니, 소득 최하위 20% 1분위의 필수 생계비는 평균 가처분 소득 93%에 육박했습니다.<br /><br />세금, 이자 외에 남은 돈 대부분을 식료품과 교통, 주거비 등으로 거의 다 쓴 겁니다.<br /><br />그 배경엔 난방비가 한몫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3년간 1분기에 1분위 가구가 냉난방, 취사를 위해 쓴 연료비가 월평균 거의 9만원으로 다른 분기의 최대 2배가 넘은 겁니다.<br /><br />가스요금 인상에 기록적 한파로 '난방비 폭탄'이 덮친데다 전기요금마저 1981년 이후 최대폭으로 오른 올해 1분기 상황은 더 어려워졌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대중교통 요금도 줄인상이 예고돼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8년 만에 버스, 지하철 요금 인상을 추진 중이고, 택시는 다음 달부터 인상이 확정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160만 가구 난방비 지원 카드를 꺼내고 지원 확대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바우처 지급 대상 수준에 대해서 그때 상황에 맞게 일정 기간 가져갈 부분이기 때문에 이것이 꼭 한시적이다 한정할 필요는 없다…."<br /><br />하지만 연료비, 교통비 말고도 상하수도 요금, 쓰레기 종량제 봉투값마저 인상이 예고된 탓에 서민생활의 어려움은 1분기 이후에도 계속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난방비_폭탄 #대중교통요금_인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