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하원의원, 의회서 챗GPT 작성 원고로 연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공지능 기술로 실제 사람이 쓴 것 같은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문장을 작성하는 챗봇, '챗GPT'가 미국에서 인기를 끌면서 미국 의회와 정부도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술 남용을 우려해 조속히 규제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김동현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주 미 하원에서는 한 의원의 연설이 주목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제이크 오친클로스 의원의 연설로, 미국과 이스라엘의 공동 AI 연구센터 설치 추진 법안을 소개하는 내용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이 AI 연구개발에서 선두 지위를 유지하고 기술 진화의 여러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이스라엘 정부 같은 국제 파트너와 협력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언뜻 평범해 보이는 연설임에도 관심을 모은 건, 의회 역사상 처음으로 인공지능 챗봇 '챗GPT'가 작성한 연설문을 읽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오친클로스 의원은 '법안의 중요성을 소개하는 연설문을 100단어로 작성하라'고 챗GPT에 지시했고 몇 차례 보완 지시를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인터넷에 있는 방대한 양의 글을 학습해 콘텐츠를 스스로 만드는 챗GPT는, 출시 두달 만에 1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모으며 인기를 끌고 있지만 동시에 기술 남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친클로스 의원은 새 기술에 적대심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, 관련 정책이나 법규가 너무 늦어져서도 안 된다며 거대 기술기업을 견제할 '공공 균형추'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테드 류 하원의원도 뉴욕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통제가 전혀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정부가 AI 규제를 담당할 전담 기관을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미 군당국도 AI 기술의 파급력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군사전문매체 디펜스뉴스는 미 국방정보체계국이 감시 대상에 챗GPT의 기반이 되는 생성형 AI를 최근 추가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김동현입니다.<br /><br />#챗봇 #챗GPT #AI #인공지능 #ChatGPT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