잇따른 돌발 변수…대통령실 청와대 활용도 ↑ <br />즉답 피하는 문체부…"대통령실 자문단이 논의" <br />지난해 마친다던 자문단 계획 발표도 ’차일피일’ <br />전문가 "활용과 보존이 조화 이룰 방법 찾아야"<br /><br /> <br />지난해 개방된 청와대에 대한 관심이 한풀 꺾이는 동안 정부가 아예 손을 놓고 있었던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영빈관을 미술 전시장으로 활용하는 쪽으로 큰 그림을 그리던 중 돌발 변수가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최근 잦아진 대통령의 청와대 행사입니다. <br /> <br />김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청와대 개방을 두 달 앞둔 지난해 3월. <br /> <br />당선인 신분이던 윤석열 대통령은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 공간 대부분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 (지난해 3월) : 본관, 영빈관을 비롯하여 최고의 정원이라 불리는 녹지원과 상춘재를 모두 국민의 품으로 돌려드리겠습니다.] <br /> <br />청와대 문을 개방한 이후 정부는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영빈관을 근현대 미술품 전시장으로 활용하는 등 청와대를 한국의 '베르사유 궁전'으로 만들겠다는 게 밑그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보균 /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(지난해 7월) :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처럼 건축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전시하는 개념입니다. 본관과 관저, 영빈관은 프리미엄 근현대 미술품 전시장으로 활용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 이후 돌발 변수가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그 가운데 하나가 지난해 12월 이후 눈에 띄게 늘어난 대통령실의 청와대 활용입니다. <br /> <br />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5일 베트남 국가주석과의 국빈 만찬을 시작으로 해외 순방 직전까지 영빈관을 15번, 상춘재를 2번 사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틀에 한 번꼴로 청와대를 찾은 셈인데, 행사 전후 해당 구역의 일반인 관람은 제한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 때문이었을까. <br /> <br />문체부는 올해 초 업무보고에서 '청와대 활용 방안은 대통령실 자문단이 논의하고 있다'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고, 대통령실 자문단 역시 지난해까지 마친다던 로드맵 발표를 차일피일 미루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늘어난 대통령의 청와대 행사가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대통령실은 청와대 활용은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고 공간을 실용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함이며 <br /> <br />이전 발표 때 영빈관 사용 방안을 설명한 적 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청와대를 국민의 품에 돌려드린 보람과 혜택은 300만 명 가까운 방문객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철희 (kchee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20118433531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