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한·미가 국방장관회담에서 전략자산 전개 확대 등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를 선언한 지 하루만인 지난 1일 연합공중훈련을 했다. 북한은 2일 “미국의 그 어떤 군사적 기도에도 초강력 대응할 것”이라고 맞섰다. <br /> <br /> 올해 첫 연합공중훈련에 미측은 F-22, F-35B 등 5세대 전투기와 B-1B 전략폭격기, 한국측은 F-35A 전투기가 각각 참가했다. 지난 31일 한·미 국방장관회담에서 로이드 오스틴 장관이 “전략자산을 더 많이 전개할 것”이라는 발언 그대로였다. <br /> <br /> 특이한 점은 훈련 장소가 과거 주로 훈련을 했던 동해 또는 제주 남쪽 상공이 아니라 서해 상공이라는 점이다. 한·미는 훈련 실시 사실도 즉각 공개했다. 서해 연합훈련은 과거에도 드물게 실시됐지만 이 경우 군 당국은 장소를 명시하지 않은 채 훈련 사실만 공개했다. 지난해 11월 북한 도발이 한창이던 시기 B-1B가 서해 훈련에 나섰을 때 장소는 비공개였다. <br /> <br /> 이들 전략자산이 서해로 향한 배경에 대해선 북한과 중국을 동시에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. 앞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해 11월 미·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“북한의 최악 행동을 그만두도록 건설적인 역할을 하는 게 중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”며 “북한이 그 길을 계속 간다면 역내에서 미국의 군사·안보적 현시(military and security presence)를 더 강화할 수밖에 없다”고 경고했다. <br /> <br /> 과거 사실상 내해(內海)라고 주장하는 서해에 미 전략자산이 등장할 때 중국은 민감하게 반응했다. 2010년 3월 북한의 천안함 피격에 이어 11월 연평도 포격 사건이 벌어지자 미국은 핵추진 항공모함인 조지워싱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37901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