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기차에 대한 정부 보조금 지급 기준이 올해부터 확 달라집니다.<br> <br>전기차여도 국산이냐 수입이냐에 따라 차이가 생기는데요. <br> <br>그 이유를 서주희 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현대차 아이오닉5 롱레인지 모델입니다. <br> <br>1회 충전 주행거리가 458km으로 개편된 보조금 최대치인 680만 원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 모델과 동일한 재원이라도 정비 전산체계 유무, 충전 인프라 등에 따라 보조금이 140만 원까지 줄어듭니다. <br><br>올해부터 직영·협력 AS센터 운영여부, 전산관리시스템 유무에 따라 1~3등급으로 나눠 보조금이 차등 지급됩니다. <br> <br>3등급에 해당될 경우, 보조금이 20%까지 삭감됩니다. <br><br>현재 수입 전기차 가운데 테슬라만 직영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입니다. <br> <br>[김필수 /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] <br>"지금 보조금 자체가 국민의 혈세고 또 필요 없이 낭비되는 요소도 굉장히 크기 때문에 분명히 개선의 필요성은 있다는" <br> <br>정부는 직영 서비스센터가 없는 수입차는 50%까지 보조금을 깎기로 했다가 수입차 업계 반발로 삭감폭을 줄였습니다. <br> <br>반면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을 뜻하는 '에너지 밀도'가 낮으면 보조금이 70%까지만 지급됩니다.<br><br>국내시장 40% 점유하고 있지만 배터리 효율이 낮은 중국산 전기버스 업체의 타격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환경부는 오는 9일 전기차 모델별로 정확한 보조금 지급액을 홈페이지에 게시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명철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