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장 유전체 검사 기술로 암 진단 솔루션 개발 <br />창업자 모두 의사과학자…성장가능성에 창업 결심 <br />의협 "과학계 주장, 의대 정원 증원 변질 우려" <br />정부, 의사과학자 양성 위한 세부방안 마련 못 해<br /><br /> <br />우리나라가 K-방역에는 성공했지만 백신 개발엔 늦었던 이유, 바로 의학과 임상 경험 그리고 연구 능력을 고루 갖춘 의사과학자가 없었던 원인이 큽니다. <br /> <br />미래 바이오 산업은 의사과학자가 주도할 것이라는 데에는 모두가 동의하고 있지만, 누가 어떻게 키울 것인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에 양훼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20년에 설립된 KAIST 교원창업기업. <br /> <br />최대 2%의 유전자만 분석하는 시중 암 유전체 검사와 달리 같은 비용에 모든 유전자를 분석해주는 암 진단 솔루션을 오는 4월 출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 기업의 공동 창업자는 모두 의사과학자로, 유전체 분석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과감하게 창업의 길을 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석 / 지놈인사이트 대표 : 암과 희귀 질환 분야의 유전체 데이터들과 임상 정보 환자들의 예후, 약물 사용, 또 인구학적 특징 등과 같은 임상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해석해서…] <br /> <br />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과학기술특성화대학들이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포스텍은 의대와 병원을 동시에 추진 중인데, 올해 의과학대학원을 개원하고, 나아가 연구중심의대와 부속병원 건립도 계획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AIST는 현재 운영 중인 의과학대학원을 오는 2026년 과학기술 의학전문대학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임상 교육은 물론 공학과 디지털 교육 등을 통해 공학적 시각으로 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업화까지 이끄는 의사과학자를 키우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광형 / KAIST 총장 : KAIST는 전문의 과정은 없고 의사 자격증만 따고 연구를 할 수 있는 그런 인력을 키우는 겁니다. 인공지능, 빅데이터, 생물학, 화학, 이런 것들로 무장된 의사들이에요.] <br /> <br />하지만 의료계 입장은 이와 다릅니다. <br /> <br />의사과학자의 중요성은 동의하지만, 연구중심 의대나 과학기술 의전원을 새로 만드는 건 의대 정원 증원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기존 의대에서 교육과정을 개편해 연구 기회를 주고, 꾸준히 연구할 수 있게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근 / 대한의사협회 상근부회장 : 진로에 대해서 의사 과학자가 된 다음에 그 연구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20305394744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