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한파에 중소건설사 흔들…PF 위기 고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부동산 침체·금리인상으로 임대인·세입자 뿐 아니라 건설사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중소건설사들이 자금난 등으로 휘청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덩달아 부동산 기업대출, 프로젝트파이낸싱 시장도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 7월 입주가 진행되는 서울 마포구 공덕동의 한 아파트 단지 공사 현장입니다.<br /><br />966가구 규모로 입주가 몇 달 남지 않았는데, 지난해 기준 도급 순위 83위인 건설업체 A사는 작년 12월 말 사업 포기 의사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공덕 뿐 아니라 평창, 속초, 고덕 등 A사는 다른 현장에서도 차질을 빚었습니다.<br /><br />자금난이 문제였는데, 노조는 임금이 수개월째 체불됐다며 지난해 12월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습니다.<br /><br /> "숙소비나 전기요금 이런 것들도 지급이 안 되는 상황이었어요.직원들이 (하도급 업체들한테) 빚쟁이처럼 쫓겨다니는 상황이 됐었죠."<br /><br />위기를 맞은 중소 건설사는 더 있습니다.<br /><br />충남지역 시공능력평가 6위인 B사는 지난해 9월 부도처리 됐고, 시공능력평가 388위인 C업체도 지난 11월 문을 닫았습니다.<br /><br />중소 건설사들의 시장 진입을 돕는 '선분양' 구조가 부동산 침체기에 미분양 사태를 겪으며 오히려 독이 됐고, 금리가 치솟아 대금 단기차입금 비용도 커진 게 원인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여기다 도산하는 건설사들의 PF와 연계된 신탁회사 등도 피해를 보진 않을까 우려가 커지면서, 정부의 보증 확대로 진정되는 듯하던 부동산 기업대출 업계에 다시 불안감이 확산하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 "자칫 깨진 독에 물 붓기처럼 PF 부실을 키울 수가 있어서…숨통을 트여줘도 또 분양이 안 되는 경우에 리스크가 다시 발생한다는 거거든요."<br /><br />이러한 중소 건설사들의 위기가 심화돼 자칫 대형 건설사로 확대되지는 않을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부동산_한파 #중견건설사 #자금경색 #PF_부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