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대통령도 반한 챗GPT…AI 경쟁 속 우리 위치는?

2023-02-05 0 Dailymotion

대통령도 반한 챗GPT…AI 경쟁 속 우리 위치는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요즘 인공지능 챗봇, 챗GPT가 화제입니다.<br /><br />얼마 전엔 대통령이 공직자들에게 업무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라 지시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국내 기업들도 앞다퉈 기술 개발에 매진 중이지만, 갈 길은 아직 멀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단순한 검색 결과 나열이 아니라 찾고 있는 답에 대해 스스로 흐름을 구성하며 답하는 미국 오픈AI의 인공지능 챗봇, 챗GPT.<br /><br />아직 시험 버전이지만 출시 40일 만에 하루 사용자 1,000만명을 넘겼을 정도로 인기입니다.<br /><br />검색 강자 구글뿐 아니라 국내 주요 IT 기업들도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네이버는 대용량 데이터를 품은 초거대 AI를 활용해 검색과 예약, 쇼핑 서비스에 도입했고, 자기소개서 쓰기, 광고 글 만들기로도 활용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SK텔레콤은 이달 중 맞춤형 AI 서비스에 '장기 기억' 기능까지 넣어 AI와의 대화가 1회성에 그치지 않고 꾸준히 이어지도록 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LG는 그림을 글로 설명해주는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성능 차이는 뚜렷합니다.<br /><br />인공지능 '매개변수'란 사람의 뇌에서 정보전달 통로인 시냅스와 비슷한 역할로, 많을수록 성능이 좋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현재 구글이 1조 6,000억개 정도인데 반해 LG는 3,000억개, 네이버 2,040억개, 카카오 300억개 수준에 그칩니다.<br /><br />오픈AI 챗GPT의 새 버전은 매개변수가 100조개에 이를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점점 더 사람 뇌와 유사해지는 겁니다.<br /><br /> "개발에 막대한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결국 글로벌 거대 기업과 경쟁하려면 자본력이 뒷받침 돼야하고…."<br /><br />넘어야 할 산은 또 있습니다.<br /><br />학습할 데이터를 어디서 최대한 많이 확보하느냐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따라올 개인정보 보호와 저작권 문제 해결도 주요 과제라고 짚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인공지능 #챗봇 #챗GPT #IT기업 #AI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