난방비 급등은 겨울철에도 실내 온도 유지가 생명인 화훼농가에 더욱 치명적입니다. <br /> <br />농민들은 올겨울 농사용 전기료가 전년 대비 40% 넘게 올랐다며 울상입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상황,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황보혜경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 파주시 화훼농가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옷차림이 가벼운 걸 보니, 지금 난방을 하고 있나 보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 농가에선 4천㎡ 온실에서 장미를 키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밖은 영하지만, 온실 온도는 20도 정도로 맞춰져 있어 따뜻합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화훼농가들은 추운 겨울에도 꽃을 재배하기 위해서 전기나 등유 난방으로 적정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곳 장미 농가에선 전기 난방을 하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12월에 사용한 농사용 전기료가 720만 원 가까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전 5백만 원 정도를 냈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40% 넘게 오른 건데, 이 농가 전체 생산비의 70%를 차지하는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올겨울 날씨가 추워 난방비가 많이 든 탓도 있지만, 무엇보다 전기료가 급등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4분기 농사용 전기요금은 1㎾h(킬로와트시)당 49.2원으로 재작년 같은 기간보다 12.3원, 30% 넘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등유 난방을 하는 농가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올해 1월 면세 등유 가격은 1ℓ당 1,297원으로 지난해 1월보다 40% 가까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 장기화도 면세 등유 가격 급등에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장미를 키우는 데 들어가는 수입 비료인 '양액' 등 자재비를 비롯해 인건비 등도 줄줄이 오른 겁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마스크 없는 졸업식 특수를 맞이했지만, 경기 불황 탓에 꽃 수요도 많지 않아 농민들은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올해 1월부터 농사용 전기료가 53원으로 8% 가까이 더 오르면서, 이번 달 고지서도 난방비 폭탄이 예상된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이 농가는 지난 주말 대출금 2천만 원을 들여서 온실에 보온용 커튼을 추가로 설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기 파주시 화훼농가에서 YTN 황보혜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20609544587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