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업계 3년치 일감 확보했는데…"숙련인력 태부족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사태가 조금씩 풀린 뒤 해운 운임이 폭등하자 조선업계도 그 덕을 봤습니다.<br /><br />발주가 늘며 향후 3년 치 일감을 확보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일감이 넘쳐도 일을 할 사람이 없는 실정인데요.<br /><br />정부가 외국 인력 2,000명을 긴급 수혈했지만 향후 5년간 4만명이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표적 해상운송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지난 3일 기준 1,006선, 1년 전보다 80% 급락하며 코로나 기간 특수를 누린 해운업계 시황이 둔화하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운임이 떨어지면 해운업체들의 선박 발주량도 줄기 때문에 조선업계도 영향이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조선업계는 이미 3년치 넘는 일감을 확보해 최근 해운시황 여파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지난해 러시아의 대유럽 가스관 차단으로 액화천연가스 LNG선 수요가 늘어 수주량을 채우는 데 한몫 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조선업계 발목을 잡는 요인은 따로 있습니다.<br /><br />바로 작년 여름 대우조선해양의 하청업체 파업을 계기로 불거진 조선업의 숙련인력 부족 문제입니다.<br /><br />국내에 배를 만들 수 있는 인력은 작년 7월 기준 9만 명, 2014년 20만 명의 절반에도 못 미칩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급히 외국인력 2,000명에 비자를 발급해 현장에 급파하기로 했지만, 태부족이긴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조선업계는 경쟁력 유지를 위해선 5년간 4만 명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외국인 인력은 단기적으로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도입해야 하는 측면이 있습니다. 조선사들이 지금은 성과도 많이 올랐고 근로자들한테 충분한 임금을 제시할 수 있는 수준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…"<br /><br />근본적 인력부족 해소를 위해 정부와 조선업계는 원, 하청 간 노동시장 이중구조 및 이로 인한 임금격차 완화에 주력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조선업 #인력 #일감확보 #임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