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런 분위기가 감지되자, 일각에선 부동산 시장도 이제 바닥을 찍고 다시 상승하는 게 아닌가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말 반전된걸까요.<br> <br>아닐까요. <br> <br>전문가들은 아직 속단하긴 어렵다고 합니다. <br> <br>이민준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오늘까지 집계된 지난 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에 따르면 송파구 강동구 노원구 순으로 거래가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.<br> <br>지난해 하락 폭이 컸던 지역들 중심으로 급매 위주 거래가 이뤄진 겁니다. <br> <br>[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위원] <br>"내집 마련 실수요자들이 (다른 구에 비해) 집값이 많이 떨어진 곳에서 일부 매수에 나서면서 밑바닥에서 거래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이 되고요." <br> <br>정부가 재건축과 대출 규제를 잇달아 완화한 데 이어, 은행들이 앞다퉈 대출금리를 낮춘 것도 거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> <br>[강남 부동산 중개소 관계자] <br>"(분위기가) 바뀌었어요. (투기과열지구 해제발표) 다음 날에 급매 하나 나가고, 20평대. 30평대 다음 날 나가고, 40평대 나가고 3개 팔리고 나더니 가격이 올라가 버렸어요." <br><br>거래량이 반등하며 '집값도 바닥을 다지는 게 아니냐'는 기대가 나오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지켜봐야 한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[김경민 /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] <br>"서울시가 월 평균 (거래량이) 6500건이 돼요. (1월 거래량은) 평균 대비로 해도 6분의 1 수준이기 때문에, 여전히 낮은 상황이고." <br><br>지난해 초에도 거래량이 800여 건에서 1000여 건으로 회복세를 보였지만,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이 계속되면서 순식간에 거래절벽과 집값 하락이 이어졌습니다.<br> <br>미국에 이어 한국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, 전세가도 계속 떨어지는 상황. <br><br>올해 하반기까지는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거란 전망입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이민준 기자 2minju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