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은행들이 벌이는 돈잔치를 막을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4대 금융지주 이자 이익만 40조에 달한다, 그런데 그들은 성과금 300% 돈잔치를 하고 있다고 지난주 지적한 바 있는데요. <br> <br>윤 대통령은 지나친 고금리로 국민 고통이 큰데, 은행들은 내부 돈잔치로 위화감을 조성하고 있다며 금융위원회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의 강한 압박에 민간 은행들이 금리를 좀 내릴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이 '은행 돈잔치'에 제동을 걸었습니다. . <br> <br>윤 대통령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"'은행의 돈잔치'로 인해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"고 지시했습니다. <br><br>기준금리 인상을 계기로 대출금리는 크게 올렸으나 예금금리는 그만큼 올리지 않아 차익인 예대마진이 크게 늘어난 것을 지적한 겁니다. <br><br>특히 은행들은 그 돈으로 직원들의 퇴직금과 성과급을 챙겨주면서 논란은 더 커지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"은행의 수익이 국민, 자영업자, 소상공인에게도 돌아갈 수 있게 해달라"며 '상생금융'을 강조했습니다.<br> <br>지난달 금융위 업무보고에 이어 은행의 공공재적 성격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겁니다. <br> <br>[금융위원회 업무보고(지난달 30일)] <br>"은행은 민영화된 기업이지만 그 자체가 하나의 공공재라고 생각합니다. 저는 은행 시스템은 군대보다도 중요한 국방보다도 중요한 시스템이라고 보고 있습니다." <br> <br>정부는 은행의 수익이 주주나 임직원의 성과로 바로 배분되지 않고, 손실 발생시 대응할 수 있도록 돈을 쌓아두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지난해 7월부터 시행한 은행별 예대금리차 비교공시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또 은행권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취약계층 지원프로그램과 이익 사회 환원 등을 은행권과 협의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