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9일째를 맞은 튀르키예와 시리아 강진 소식입니다.<br> <br> 간간이 기적같은 구조소식이 이어지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생존자보다 수습되는 시신의 숫자가 훨씬 많습니다.<br> <br> 지역별로도 구조작업은 조금씩 종료됐습니다. <br> <br>대신, 생존자 지원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.<br> <br>김성규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어둠 속에서 불을 밝힌 채 구조대들이 분주하게 움직입니다. <br> <br>일주일 하고도 17시간 잔해 속에 갇혀있던 67살 남성이 살아서 돌아왔습니다. <br> <br> 비슷한 시각 10살 소녀가 아파트 단지에서 구조됐고 이보다 3시간 전에는 13살 소년도 구출됐습니다. <br> <br> 사선에서 돌아왔다는 소식이 이어지고는 있지만 수습하는 시신들이 훨씬 많습니다. <br> <br> 일주일이 넘어선데다 영하의 날씨 속에 잔해 속 생존자들의 저체온증이 심각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 현재까지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강진에 희생된 주민은 3만7000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이젠 21세기 들어 6번째 참사로 기록됐고 희생자수는 매일 불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주민들은 배고픔과 추위를 버티며 하루하루 노숙 생활을 이어갑니다. <br> <br>[제흐라 쿠루카파 / 지진 생존자] <br>"네 식구가 모여서 진흙에서 자고 있어요. 마을에 충분한 텐트가 없어서 다 모여 있습니다." <br> <br> 안타깝게도 생환에 대한 희망이 사라지면서 현지 구조당국은 생존자 지원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실제 카흐라만마라슈 7개 지역에서 구조작업은 종료됐습니다. <br> <br> 열악한 위생상태와 약탈도 생존자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하산 뭄쿠 / 지진 생존자] <br>“죽은 동물들이 병을 일으키고 있어요. 냄새가 벌써 매우 강합니다. 병이 퍼지는 게 무서워요.” <br> <br> 이제 남은 사람들이 예전의 삶을 되찾을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정다은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