튀르키예 강진에 대륙 반대쪽 국내 지하수 수위도 변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와 이번 강진을 겪은 튀르키예는 아시아대륙의 각각 양쪽 끝에 있고 거리가 장장 7,400km나 떨어져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이번 강진으로 국내의 지하수 수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지진의 파괴력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6일 튀르키예에서 규모 7.8의 강진이 발생한 이후 국내 지하수 관측정을 통해 감지한 수위 변화 그래프입니다.<br /><br />국내에 지진파가 감지된 건 오전 10시 28분쯤.<br /><br />그로부터 30분쯤 뒤에 문경 관측정 지하수 수위는 7cm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같은 시각 강릉 관측정에서도 수위가 3cm가량 올라간 게 확인됩니다.<br /><br />통상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파에 의해 지하수가 있는 지층에도 압력이 가해져 수위가 오르내리는 현상이 생기는데, 국내에서 7,400km나 떨어진 튀르키예 지진에 영향을 받았다는 건 그만큼 지진이 강했다는 걸 보여줍니다.<br /><br /> "지진파는 이동을 하면서 에너지가 감세를 해요.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까 (지진파에 따른) 압력이라는 것이 지하에서 작용해서 지하 수위로 변화가 나타난…."<br /><br />해외 지진 여파를 받은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.<br /><br />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국내 지하수 수위는 관측점에 따라 1cm에서 최고 2m, 튀르키예 강진과 같은 규모였던 2021년 뉴질랜드 강진 당시엔 2.3cm가량 수위 변화가 관측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외 지진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경우 지하수에 영향을 미칠 우려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 "수량과 수질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…또 방폐장이라든지 이런 쪽에서 오염물이 이동할 수 있어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…."<br /><br />연구원은 관련 연구가 축적되면, 향후 지진 피해를 예방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튀르키예 #지진 #지하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