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무려 2천만년전, 신생대 나무 화석이 오늘 공개됐습니다.<br> <br>10m가 넘는 길이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큰 나무화석입니다.<br> <br>권솔 기자와 함께 관찰해보시죠. <br><br>[기자]<br>지난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신생대 나무화석입니다. <br><br>길이 10.3m, 최대 폭 1.3m로 그간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나무 화석 중 가장 큽니다. <br> <br>나무 화석의 길이가 얼마나 되는지 걸어봤는데요. <br> <br>성인 발걸음으로 20걸음 정도입니다.<br> <br>3층 건물보다 높은 압도적인 크기로 어른 열두 명이 손을 맞잡아야 비슷한 길이가 됩니다.<br> <br>돌처럼 굳은 화석이지만 악어 등껍질 같은 표면과 옹이의 질감은 2천만 년 전 신생대 나무 그대로입니다. <br> <br>[정승호 / 학예연구사] <br>"표면 구조, 옹이 구조 같은 것들이 잘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학술적으로도 가치 있고 당시 신생대의 식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." <br> <br>나무화석은 지난 2009년 경북 포항에서 도로공사 중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3년간의 긴급 보존처리를 거쳐 이번에 처음 일반에 공개된 겁니다. <br> <br>[조나영 / 서울시 금천구] <br>"가벼운 마음으로 왔는데 일단 엄청 큰 게 신기하고요. 옹이가 저렇게 큰 걸 볼 수 있다는 게 안에 노란색으로 다 보여서…." <br> <br>우뚝 서 있던 나무는 어떻게 화석이 된 걸까. <br> <br>나무가 넘어진 채로 이산화규소 등 광물에 오랫동안 침착되면서 화학작용을 거치면 그 모양 그대로 돌이 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나무 화석은 희귀한 자연유산으로 관심을 받아왔습니다. <br> <br>태국의 1억 년 넘은 나무 화석은 69.7m 길이로 기네스북에 올랐습니다. <br> <br>미국의 한 국립공원은 5백만 년 전 화산이 폭발하면서 숲이 화산재에 묻혔는데, 세월이 흘러 화석이 된 통나무가 하나씩 드러나 관광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솔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천종석<br /><br /><br />권솔 기자 kwon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