튀르키예·시리아 강진 열흘째, 사망자는 4만천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은 튀르키예 동남부 피해 지역에서 현장 취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임성재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카흐라만마라슈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대 피해 지역으로 꼽히는 곳인데,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까. <br /> <br />현장 상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제가 서 있는 곳은 아파트·상가가 있던 터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형체도 알아볼 수 없는 잔해만 쌓인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지진 초기 붕괴 현장과는 다소 달라진 모습도 눈에 띄는데요. <br /> <br />각 층이 무너지면서 겹겹이 쌓인 대형 구조물이 많았지만, 지금은 파편과 철골 위주로 잔해가 쌓여있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무너진 건물에 대한 철거 작업이 상당 부분 마무리된 겁니다. <br /> <br />그나마 이곳은 굴착기로 철거 작업을 하면서, 인기척이 있는지 살피는 등 수색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이곳 카흐라만마라슈에서 200시간 만에 형제가 구조되기도 했죠. <br /> <br />하지만 밤사이 영하로 떨어지는 온도여서 추가 생존자가 더 버틸 수 있을지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래도 카흐라만마라슈에서는 수색 작업이 계속되고 있지만, 지진 피해 지역 가운데 절반 이상은 구조가 종료됐다고요? <br /> <br />사망자 장례 상황도 궁금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튀르키예 10개 주 가운데 7곳이 구조 작업이 종료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 카흐라만마라슈와 하타이, 아디야만 등 피해가 큰 3곳을 중심으로 구조 작업이 이어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다른 피해 지역은 사실상 상당 지역이 건물 철거와 시신 수습 단계로 넘어간 셈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, 카흐라만마라슈 외곽에 있는 공동 묘지를 찾아가봤습니다. <br /> <br />지진 희생자를 묻기 위해 생긴 건데요. <br /> <br />사망자가 속출하면서 부지를 확장한 상태였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정식 표지석을 구하기 어려워, 나무판을 세워 사망자를 구분하고 있었는데요. <br /> <br />관계자는 최근 3일 동안 시신이 줄을 이어 하루 평균 150명에 대한 장례가 치러졌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도심 이재민 텐트촌의 경우 치안 상황을 우려해서인지, 배치된 현지 경찰과 군인 숫자가 확연히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외부인 접근 역시 차단하고 있는데, 취재진에게도 '프레스 카드'를 요구하는 등 경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벌써 4만 명을 넘어섰군요. <br /> <br />[기자]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21516511297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