길어지는 인플레이션…모호해진 한은 기준금리 향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재작년부터 숨 가쁘게 기준금리를 올려온 한국은행이 조만간 긴축을 완화할 것이란 시장의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금융을 둘러싼 대내외 변수가 여전히 적지 않은 상황이죠.<br /><br />이제 일주일 뒤면 또다시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, 한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기준금리인 연 3.5%보다 낮은 수준을 약 한 달간 지속했습니다.<br /><br />은행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 금리도 두 달 연속 하락세입니다.<br /><br />기준금리 인하를 아직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은의 입장 표명에도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달했다는 기대감이 작용한 겁니다.<br /><br />경기도 신경 써야 한다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언급 역시 통화정책 변화 기대를 키웠지만, 문제는 역시 물가입니다.<br /><br />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%대에서 좀처럼 내려오지 않는 상황에서 최근 공공요금 인상은 물가를 더 자극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경기 침체 부담에도 다음 주 목요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한은이 0.25%p 추가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기대만큼 빨리 떨어지지 않는 물가상승률이 계속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, 하반기로 가면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고 하는 기대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으로 판단합니다."<br /><br />미국 상황도 변수입니다.<br /><br />연초 미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긴축의 고삐를 더 잡아당길 여지가 생긴 겁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움직임에 15일 코스피는 1.5%, 코스닥은 1.8% 떨어졌고 환율도 올해 들어 가장 높은 1,282원대로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한은 기준금리의 향방에 대한 불확실성이 그만큼 크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기준금리 #한국은행 #물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