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통령은 통신비 지적도 했는데요. <br> <br>통신사 3사 외에 제4통신사, 신규 사업자 얘기까지 정부에서 나오자, 통신 3사는 곧바로 다음달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겠다고 나섰습니다.<br> <br>통신비를 내리는 건 아닙니다. <br> <br>김승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5G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에 매달 11만 원 넘게 쓰는 40대 직장인 유모 씨. <br> <br>4인 가족 월 통신비로만 40만 원이 나갑니다. <br> <br>[유모 씨 / 경기 평택시] <br>"40만 원대면은 아파트 관리비 값이거든요. 아이들 위치 (확인) 같은 경우도 데이터가 있어야 되는 부분이고. 온라인상으로 일하는 부분들도 있어서…." <br> <br>이 같은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통신 3사 중심 과점 체제를 허물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[최상목 / 대통령 경제수석] <br>"국내시장은 2001년 이후 통신 3사 중심의 과점 구조가 유지되어왔고. (윤 대통령은) 통신시장 경쟁 촉진 강화를 지시하셨습니다." <br> <br>지난해 기존 통신사들이 포기한 28GHz 대역의 신규 사업자를 찾겠다는 겁니다. <br><br>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기 투자 부담 등을 고려해 초고속 데이터를 지원하는 신규 데이터 사업자를 모집한다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다만 해당 사업자가 성장한다면 기존 통신사들처럼 전화서비스 등을 제공할 가능성도 있는 겁니다. <br> <br>[홍기용 /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] <br>"소수의 통신사만 역할을 하고 있어서 가격의 비탄력성이 있다고 볼 수가 있기 때문에. (새 기업이 들어오면) 효율적인 경영을 하고자 하는 촉진 역할을 할 수 있다." <br> <br>하지만 기존 통신사들도 막대한 비용을 문제로 포기한 대역인 만큼, 새로운 사업자를 구하는 게 순탄치 않을 거라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통신비 부담이 높다는 정부의 압박에 이동통신 3사는 일제히 3월 한 달간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: 이준희 <br>영상편집: 최동훈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