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통령에 이어 은행 통신 항공 업계를 향한 여당과 정부의 2차 압박이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"예금과 대출 이자를 이야기하는데 얼마 내놓아서 해결하려 하는 은행 발상이 우습다"고 직격탄을 날렸습니다. <br> <br>유승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은 최근 사회 환원 계획을 발표한 은행권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습니다. <br> <br>[주호영 / 국민의힘 원내대표] <br>"수십조 이득을 남기고 그것을 수억씩 성과급 잔치하고 나서 문제가 되니까 '이제 우리 얼마 내놓겠습니다' 이런 후진적인 행태를 더 이상 가져가선 안 되겠습니다." <br><br>국민이 납득할 만한 예금과 대출 이자 차이를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의 지적 이후 내놓은 은행권의 자구 노력이 부족하다는 게 여당 판단입니다. <br><br>대통령은 통신 요금 구간을 손보라 했는데, 3월 한 달간 모바일 데이터를 추가 제공하겠다고 한 통신사 대책에도 비판적인 반응이 나왔습니다.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"며 소비자의 반응이 좋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.<br> <br>정부와 여당은 오는 4월 새 마일리지 제도 시행을 예고한 대한항공을 향한 압박도 시작했습니다. <br><br>어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"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안은 고객들이 애써 쌓은 마일리지 가치를 대폭 삭감하겠다는 것"이라고 비판한 뒤, 여당도 가세했습니다. <br> <br>[성일종 / 국민의힘 정책위의장] <br>"대한항공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민이 낸 혈세로 고용유지 지원금을 받고 국책 은행을 통한 긴급자금을 지원받은 것을 잊고 소비자를 우롱하면 되겠습니까." <br> <br>여권의 연이은 압박은 물가 안정을 통해 우호적인 국민 여론을 얻고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<br> 영상취재 : 김기태 홍승택 <br> 영상편집 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