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편의점 유리창에 불투명 시트지를 붙인지도 1년이 넘었습니다.<br> <br>목적은 담배 광고를 안보이게 해서, 흡연률을 낮추기 위한 것이죠. <br> <br>하지만, 편의점 업계에선 오히려 편의점을 노리는 범죄를 부추긴다며, 시트지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염정원 기자가 편의점 점주들의 목소리를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편의점 입구에 불투명한 시트지가 붙어 있습니다. <br><br>청소년등에 대한 담배 광고 노출을 막기 위해 2021년부터 시트지 부착이 의무화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이를 어기면 형사 처벌됩니다.<br> <br>하지만 편의점 업계는 오히려 안이 잘 보이지 않아 범죄에 노출되기 쉽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지난 8일 인천 편의점주 강도 살인사건도 시트지가 감시 눈길을 막아 벌어졌다며 법 개정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[박윤정 / 전국편의점점주협회 회장] <br>"불투명 시트지 때문에 골든타임을 놓친 거잖아요…결국은 살인 사건이 나고 이렇게 안 좋은 이런 일만 자꾸 생기는" <br> <br>시트지 부착과 청소년 흡연율과의 상관관계도 입증되지 않았다는 주장입니다. <br> <br>형사 처벌을 감내하며 시트지를 떼어 내는 편의점도 늘고 있습니다. <br><br>원래 이 편의점은 이렇게 불투명 시트지를 붙였지만 벌금도 불사하며 카운터쪽 시트지를 모두 떼어냈습니다.<br> <br>[김원석 / 편의점주] <br>"불이익 보다도 오히려 저희가 안전하다는 게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…일단 밖에 이상한 사람이 혹시 있나를 이렇게 바로 확인할 수 있으니까." <br> <br>담배광고판을 떼어내면 시트지를 안붙여도 되지만, 편의점주들로선 불경기에 한달 20만~60만 원씩 담배회사에서 받는 광고비가 아쉬운 게 현실입니다. <br> <br>보건복지부 측은 채널A와의 통화에서, 담배 광고가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은 자유이고, 시트지는 편의점 업계가 자발적으로 부착한 것이라면서도, 대책이나 논의를 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찬기 <br>영상편집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