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구는 적자 중개사는 폐업…부동산 한파 '확산일로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부동산 경기 침체가 길어지며 힘든 것은 미분양이 쌓이는 건설사들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인테리어·가구 업계도 근년에 없던 실적 충격에 빠졌고, 공인중개사와 이사업체들도 줄폐업 위기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가구·인테리어업계 1위 한샘은 2002년 상장 후 처음으로 지난해 21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현대리바트도 2012년 현대백화점에 인수된 뒤 지난해 처음 적자를 냈고, 2018년 신세계그룹에 편입된 까사미아도 편입 후 가장 큰 적자 규모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으며 집을 구하지도, 이사를 가지도 않은 결과입니다.<br /><br /> "주택시장이 침체되다 보니까 주거 이전이라든지 주택 매매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가구 수요라든지 인테리어 수요가 줄어들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공인중개사들도 시장을 떠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작년 12월 영업을 중단한 중개업소는 2,072곳으로 최근 5년 내 최대치였던 반면, 개업한 곳은 1,280곳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 "어려운 상황이라는 건 확실하죠. 전체적으로 사실은 거의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어서…"<br /><br />포장이사·입주 청소 업체들도 일거리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인 상황.<br /><br />여기다, 각종 지표를 보면 당장 반전은 어려운 실정입니다.<br /><br />계속되는 집값 하락에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,246건으로, 작년 1월 5,764건, 재작년 1월 6,508건의 1/5 수준입니다.<br /><br /> "금리가 언제 인하로 돌아설지도 모르고, 2~3년 정도는 이런 보합세가 더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"<br /><br />정부의 규제 완화로 집값 낙폭이 다소 줄었다지만 크게 하락하다가 잠깐 회복하는 효과에 그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해 이들 업계의 어려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가구 #인테리어 #리모델링 #부동산 #한파 #자구책 #온라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