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자·이온 가열해 플라스마 불꽃 만드는 KSTAR <br />인공태양 ITER 공동제작…에너지 대량생산 목표 <br />핵융합에너지 전기로 바꾸는 ’실증로’ 설계 착수 <br />2035년 ITER 성공 시 실증로 건설…2040년대 완공<br /><br /> <br />폭발 위험이나 방사성 폐기물 문제가 있는 핵분열보다 안전하고, 친환경적인 데다 연료까지 풍부한 핵융합은 기술 실현이 어려워 아직 상용화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과학계는 오는 2035년쯤 핵융합 상용화의 길을 열겠다는 목표를 잡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는 핵융합으로 전기를 만드는 장치를 미리 지을 준비에 돌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소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름 10m의 거대한 도넛 모양 장치! <br /> <br />핵융합이 일어나도록 전자와 이온을 가열해 플라스마 불꽃을 만드는 한국형 인공태양 KSTAR입니다. <br /> <br />방진복을 입고 KSTAR 내부에 들어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인공태양이 가동되면 이곳에서 플라스마가 1억℃로 가열되는데, 태양 온도의 약 7배입니다. <br /> <br />KSTAR 기술 완성의 기준은 1억℃의 300초 유지! <br /> <br />2021년 1억℃ 30초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고, 올해엔 마의 구간인 30초를 넘기 위해 내벽을 기존 탄소 소재보다 더 강력한 텅스텐으로 교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유석재 /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 : (올해) 50초를 달성하면 그다음에는 계속해서 꾸준히 기술이 확보되면서 올라가게 될 겁니다. 큰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유럽, 중국 등은 핵융합 실현을 두고 경쟁하면서도, 한편으로는 인공태양인 ITER 공동제작에 협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STAR 등 각국의 성과를 바탕으로 ITER는 핵융합으로 대량의 에너지를 만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에 따라 핵융합 에너지를 실제 전기로 바꿔주는 장치, 실증로를 미리 만드는 작업에도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증로 설계를 미리 완료해 2035년 ITER가 에너지 생산에 성공하는 즉시 공사에 착수해 2040년 말 완공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오태석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: 남은 기간에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. 2050년에 핵융합 에너지를 활용해서 전력 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데다 바닷물과 땅에 연료가 풍부하고,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 나오지 않는 핵융합 에너지! <br /> <br />전 세계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를 받는 가운데, 우리나라가 핵융합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22323101983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