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NG 등 연료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한국전력의 적자가 32조 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요금을 올린 4분기에만 11조 원 가까이 적자가 쌓였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박홍구 기자! <br /> <br />한전의 적자 규모가 예상대로 크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, 한전이 지난해 역대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전은 오늘 오후 공시를 통해 2022년 매출액은 71조 2천억 원, 영업손실은 32조 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3분기까지 영업손실이 21조 8천억 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4분기에만 10조 8천억 원의 적자가 쌓인 셈입니다. <br /> <br />한전은 지난해 4분기부터 전기요금을 1kW당 7.4원 인상했는데도 적자 폭이 1, 2, 3분기에 비해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한전은 지난해 전기판매 수익이 1년 전보다 8조 9천억 원 늘었으나, 자회사와 민간발전사에서 전기를 사오는 비용이 35조 5천억 원 늘어 적자가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구매 비용이 증가한 것은 LNG와 석탄 등 전기 생산에 필요한 연료 가격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2배 이상 급등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LNG 가격은 1년 전보다 113%, 유연탄은 158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한전이 발전사에서 전력을 사 올 때 적용되는 SMP도 2배 이상 올라 한전의 적자 구조가 심화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한전의 적자 해소를 위해 올해 1분기부터 전기료를 1kW당 13.1원 인상하고, 2분기 이후에도 더 올려 올 한해 전기료를 51.6원 인상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난방비 부담이 커지며 공공요금 동결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한전의 적자 해소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한전이 전기료를 올리지 못하고 계속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금융시장이 왜곡돼 중소기업이나 서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며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박홍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22414004838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