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치권과 여론에서 은행의 '돈 잔치'를 겨냥한 강도 높은 비판이 이어지자 금융당국이 대대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보험사와 카드사뿐만 아니라 증권사까지 금융권 전체에 전방위적인 압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금융권 '돈 잔치' 논란은 은행에서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 상승기에 가계와 기업이 대출로 허덕이는데 은행권은 이자 장사로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는 비판이 제기된 겁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곧바로 TF를 만들어 대대적인 제도 개선 작업에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소영 / 금융위 부위원장 (지난 22일) : 앞으로 은행을 비롯한 금융산업이 국민과 사회의 눈높이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금융권은 함께 끊임없이 고민하고…. <br /> <br />불똥은 보험사와 카드사로도 튀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급 실적을 근거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자 금융당국은 성과 보수 체계가 적정한지 등을 살피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보험업계 관계자 : 성과급 문제와 관련해서 저희를 포함한 많은 금융회사가 자발적인 상생 방안이나 사회적 공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한 발 더 나가 증권사에 대해서는 이자와 수수료율 등에 대한 점검도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증권사들은 최근 4년간 고객이 맡긴 예탁금으로 1조 8천억 원 넘게 벌어들였는데,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이용료율은 지난해 말 기준 0.37%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신용융자 이자율은 나날이 올라 10%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다음 달 유관 기관과 TF를 만들어 이자·수수료율 지급과 부과 관행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 : 신용융자 이자율은 금리가 오를 때는 따라서 빨리 올랐는데 막상 금리가 실질적으로 일부 떨어지는 국면에는 조정이 안 되고…. (은행 등에 비해) 고민이 좀 상대적으로 덜 했던 것이 현실이라서….] <br /> <br />은행에서 시작된 금융당국의 고강도 압박이 금융업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업계의 눈치 보기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22422111215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