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TN이 전 세계 해외 방송을 시작한 지 20년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다양한 시청 행태에 대응하기 위해 위성에 이어 인터넷과 OTT로도 플랫폼을 확대한 YTN은, 재외동포 콘텐츠 제작을 통해 동포사회와 고국을 연결하는 미디어 플랫폼 역할을 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재외동포청 설립을 앞두고 동포들의 역량을 모으고 한국인 정체성을 강화하는 미디어로서 YTN의 해외 방송 역할과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01년 미국과 동남아 지역을 대상으로 해외 방송을 시작한 YTN은 2003년 3월, 방송권역을 전 세계로 확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[2003년 2월 당시 방송 : YTN이 오는 3월부터 3개의 글로벌 위성을 이용해 전 지구촌을 커버하는 세계 위성방송망을 구축합니다.] <br /> <br />실시간 전해지는 고국의 뉴스는 녹록지 않은 해외생활을 버티는 데 큰 힘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[2005년 해외 시청자 : YTN 방송이 나오는 콘도미니엄으로 이사를 했죠. 항상 뉴스를 보기 위해서.] <br /> <br />YTN과 재외동포재단은 지난 20년간 '한국어 뉴스 세계위성방송망 구축사업'을 통해, 해외 오지와 파병부대에 이어 아시아와 중동 지역 해상까지 시청권역을 넓혔습니다. <br /> <br />[황선호 / 외항 화물 운송선박 선장 : 대양 항해 중에도 YTN을 통해 고국의 뉴스를 실시간으로 24시간 시청할 수 있어서….] <br /> <br />3개의 위성을 통해 전 세계로 송출되는 YTN은 해외 시청자가 위성 안테나 등 수신 장비를 이용해 직접 볼 수도 있지만, 주로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한 해외 플랫폼사가 위성TV나 케이블 TV, IPTV로 재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시청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외에서 케이블 TV나 IPTV로 YTN을 시청한다는 건 대부분 위성 송출과 수신 과정을 거쳤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YTN은 위성과 함께 IT 기반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은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등 상호 보완 방식을 병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재외공관 등 한국 관련 시설에 지원했던 위성 안테나 설치는 2017년부터 인터넷 셋톱박스로 대체한 데 이어 온라인동영상서비스, OTT와 유튜브로도 플랫폼을 다각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럼에도, 위성을 주 송출 수단으로 하는 건 위성이 임차비용이 들지만, 시청권역과 안정성 면에서 인터넷보다 장점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성기현 / 연세대 겸임교수 (유료방송 전문가) : 위성은 신호를 보내서 동시에 전 세계가 커버되는 거거든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경아 (kimk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22605383739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