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일본의 식민통치에 저항해 조선의 자주독립을 외쳤던 3·1 운동이 일어난 지 104년째 되는 날입니다. <br /> <br />삼일절을 맞아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는 그 날의 뜻을 기리는 특별한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김다현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아직도 현장에 시민들이 많은데, 오늘 어떤 행사가 진행됐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대문형무소는 3·1 운동으로 체포된 유관순 열사가 순국하는 등 많은 독립운동가가 고난을 겪은 장소인데요. <br /> <br />삼일절인 오늘, 이곳에서는 104년 전 독립만세운동을 다시 보여주는 퍼포먼스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특별한 행사가 마련된 만큼 삼일절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방문한 사람들도 많은데요. <br /> <br />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송시훈 / 초등학교 4학년 : 퍼포먼스 보러 왔는데 엄마랑 가족들이랑 같이 태극기 바람개비도 만들어서 좋아요.] <br /> <br />오늘은 또 역사 어린이 합창단의 특별 공연과 3·1 독립선언서 낭독, 그리고 만세삼창 등 삼일절의 뜻을 기릴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시민들이 태극기를 들고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정문에서 독립문까지 약 350m를 행진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서울시청 광장에서도 삼일절 관련 행사가 열린다고 하는데, 어떤 내용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 오후 1시 반부터 서울시청 광장에서는 6·15 서울본부 등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에게 평화 인권 훈장을 수여하는 행사도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양 할머니는 30년 동안 일본 정부를 상대로 강제동원에 대한 사죄를 촉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말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을 예정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외교부가 관계 부처들이 사전 협의를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제동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청년들은 일본의 눈치를 보는 정부 대신 서울시민들이 직접 훈장을 드리고, 근로정신대 문제를 알리기 위해 힘썼던 할머니의 뜻을 기억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오늘 서울시청 광장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한일합의 중단과 일본의 사과를 촉구하는 범국민대회도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대회에 참석한 시민단체들은 일본이 반성은커녕 군국주의로 다시 나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는데요, <br /> <br />또 우리 정부는 일본의 사과와 배상을 배제한 채, 한국기업의 기부금으로 보상하는 것을 강제동원 문제 해법으로 제시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다현 (dasam080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30115573124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