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부가 이렇게 부동산 규제를 확 푸는 건 미분양 주택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전국 미분양 주택 수가 10년 만에 최대입니다. <br> <br>얼어붙고 있는 부동산을 주시하고 있는 정부가 어디까지 나설지 관심입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대구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입니다. <br> <br>대형 건설사 브랜드를 달고도 지난 1월 일반 478가구 모집에 지원자는 고작 28명이었습니다. <br> <br>[대구 동구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] <br>"분양 시장이 관심을 못 끌고 있죠. 너무나 많은 물량이 쏟아진 영향이 큽니다." <br><br>전국 미분양 물량은 7만 5천 호로 2012년 11월 이후 10년 2개월 만에 최고치였습니다. <br> <br>특히 지방 미분양이 6만 3천 호로 전체의 84%를 차지했습니다.<br> <br>지역 중소건설사들이 무너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오지만 정부는 직접 매입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. <br> <br>'악성 미분양'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아직 적다며 자구 노력이 우선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원희룡 / 국토교통부 장관(어제)] <br>"분양가가 주변 시세와 마찰을 일으키고 있지 않습니까. 소비자들의 관망세 이런 것들에 대해 먼저 (분양가가) 부합을 하고." <br> <br>전문가들도 직접 개입은 아직이지만 대책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.<br><br>[권대중 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취득세·양도세·보유세 정도를 일부 낮춘다면 무주택자나 실수요자가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지 않겠나." <br> <br>지금의 추세라면 미분양은 올 여름 '2012년 미분양 종합대책'이 나왔던 수준인 10만 호에 도달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최상덕 스마트리포터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