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취임 후 처음 3.1절을 맞은 윤석열 대통령의 메시지는 그 전과는 확연하게 달랐습니다. <br> <br>일본을 "협력 파트너"로 규정했습니다. <br> <br>지난 문재인 정부 때 사죄나, 반성 요구까지는 아니더라도 과거 보수 정권에서도 거의 빠진 적 없는 과거사 역사인식에 대한 언급 자체를 빼고 미래에 초점을 맞췄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더 이상 한일 관계를 국내 정치용으로 쓰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일본도 한국은 중요한 이웃국가라며 화답했습니다.<br><br>조영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은 변화하는 세계 흐름을 읽어내지 못하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될 거라는 말로 대일 관계 개선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3·1 운동 이후 한 세기가 지나는 동안 일본은 우리의 협력 파트너로 변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[제104주년 3·1절 기념식] <br>"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,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되었습니다." <br> <br>글로벌 복합 위기와 북핵 안보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서 한미일 3자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제104주년 3·1절 기념식] <br>"세계시민의 자유 확대와 공동 번영에 책임 있는 기여를 해야 합니다. 이것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우리 선열들의 그 정신과 결코 다르지 않습니다." <br> <br>5분 간의 짧은 기념사에서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한 언급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독도, 위안부, 강제징용 등을 언급한 지난 정부 때와는 대조적입니다. <br> <br>[문재인 / 전 대통령 (지난 2018년)] <br>"일본은 인류 보편의 양심으로 역사의 진실과 정의를 마주할 수 있어야 합니다." <br>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"한일 관계를 더이상 국내 정치용으로 활용하지 않겠다는 뜻"이라며 "일본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함께 하는 것이 순국선열의 뜻을 기리는 우리의 자세"라고 의미를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우리 정부는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을 놓고 일본과의 협의를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본 정부는 기념사 이후 "한국은 다양한 과제에 협력해야 하는 중요한 이웃국가"라며 "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더 긴밀히 소통하겠다"고 화답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