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립유공자에 대한민국 '호적' 부여…광화문엔 애국지사 '컬러' 영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제104주년 3·1절을 맞아 정부는 그동안 호적이 없었던 독립유공자들에게 대한민국 적을 부여했습니다.<br /><br />3·1절을 맞은 광화문광장에서는 독립운동가들의 사진을 컬러로 복원해 만든 영상이 상영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께 경의를 표합니다."<br /><br />올해 3·1절을 맞아 독립유공자 32명에게 대한민국 적(籍)이 부여됐습니다.<br /><br />대상은 신관빈·김강·강진해·김경희 선생 등 직계 후손이 없는 무호적 유공자들입니다.<br /><br />이들 유공자는 일제가 조선인에 적용한 민사법률 '조선민사령' 제정 이전 국외 이주 등의 이유로 대한민국 공적 서류상 호적을 보유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국가보훈처는 이들의 가족관계등록을 창설하고 등록기준지를 충남 천안시 '독립기념관로 1'로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신관빈 선생은 1919년 3월 1일 개성 시내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다음 날 체포돼 그해 4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습니다.<br /><br />신 선생은 당시 유관순 열사와 같은 옥사에서 옥고를 치렀습니다.<br /><br />김강 선생은 1920년 조선은행 회령지점에서 간도로 가던 현금수송 차량을 습격한 사건에 연루돼 일본 경찰에 체포된 후 순국했습니다.<br /><br />강진해 선생은 한국독립군 별동대장으로 중국 동녕현 전투에서 전사했고, 김경희 선생은 평양 숭의여학교 교사 시절 비밀결사 '송죽회'를 조직해 항일투쟁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보훈처는 다음 달 순국 100년 만에 유해가 봉환될 황기환 지사를 포함해 무호적 독립유공자에 대한 가족관계등록 창설을 계속 추진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보훈처는 3·1절을 계기로 안중근, 김구, 이승만 등 독립운동가 15인의 모습을 고해상도의 '컬러 사진'으로 복원해 편집한 영상을 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영상은 다음 달 11일까지 광화문광장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외벽 전광판에 송출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무호적_독립유공자 #대한민국_호적부여 #애국지사 #컬러사진_영상상영 #국가보훈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