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곳곳에 건조 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봄을 맞아 산불 발생 위험이 매우 큰 상황인데,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김민경 기자! <br /> <br />지난해 산불 피해가 무척 심했는데, 올해도 심상치 않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울진·삼척 산불은 역대 최악으로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올해도 산불 발생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영상은 예천산불인데요, <br /> <br />올해 첫 야간산불인 데다, 진화됐다가 다시 재발화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날씨가 산불이 나거나 커지는 데 좋은 조건을 보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겨울 가뭄이 봄까지 이어지며 영동에는 건조경보가, <br /> <br />수도권을 포함한 내륙 곳곳에 건조주의보가 발령 중입니다. <br /> <br />산불 위험도가 높아지면서 국가 산불위기경보가 '주의'로 상향된 상탭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강풍까지 가세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상에는 풍랑주의보가, 전남 해안과 섬 지역에는 강풍주의보가 발령 중이고, 영동에는 강풍 예비특보가 내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봄철에 강풍이 특히 많이 부는 이유는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봄바람이 강풍으로 나타나는 것은 기압배치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서쪽에는 고기압이, 동쪽에는 저기압이 자리 잡으며 초속 15m 안팎의 강한 서풍을 만들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 서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며 고온건조해지고, 더 강해지는 양간지풍까지 동반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그마한 불씨가 대형산불로 변하고 진화했던 산불이 되살아나는 조건이 만들어진 겁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도 산불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국립산림과학원이 예측한 산불 장기 예측 결과를 보면, 경상권이 가장 위험하고 남부가 중부보다 산불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2년 연속 대형산불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림 주변에서는 소각행위를 하지 말고 등산객들은 불씨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3030216265857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