中 '리오프닝 효과'도 불확실…"관광객 유치 총력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반도체 경기 침체와 대중국 수출 부진 탓에 무역적자가 쌓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역규제를 걷어낸 중국의 이른바 '리오프닝'에 기대를 걸어보지만,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게 대체적 분석인데요.<br /><br />정부는 내수 경기를 살리기 위해 일단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년 내내 무역수지가 적자행진이 이어진 핵심 원인은 반토막 난 반도체 수출과 대중국 수출 부진입니다.<br /><br /> "대중국 수출 부진도 지속되고, 반도체 경기의 반등이 없이는 당분간 수출 회복에 제약이 불가피한 어려움이 큰 상황…."<br /><br />그나마 이달 코로나 봉쇄 조치를 끝내고 경제 활동을 재개하는, 중국의 '리오프닝'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, 과거처럼 큰 효과를 보긴 어려울 것이란 진단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은 리오프닝으로 중국의 성장률이 2%포인트 오를 경우, 한국 경제는 0.3%포인트 안팎의 추가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봤는데, 코로나 이전 20년 평균치의 절반 수준입니다.<br /><br />대중 수출 핵심이 반도체로 대표되는 중간재인데,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이 높아진데다, 중국 경제가 투자보다 소비 중심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중국 경제가 회복하는 것이 중간재를 많이 공급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예전만큼 그렇게 효과를 보겠느냐 그런 걱정이 있습니다."<br /><br />한편, 정부는 코로나 방역 완화를 계기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인 관광객 1인당 지출 규모가 1,689달러로 미국, 일본보다 높아, 중국 관광객 100만명이 늘면 국내 총생산 성장률이 0.08%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는 진단에서입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한중 항공편 증편과 페리 운항을 조속히 재개하는 한편, 내년까지를 '한국 방문의 해'로 지정하고,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구체적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중국_리오프닝 #경기_침체 #관광객_유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