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조금 전 들어온 소식인데요. <br> <br>SM을 둘러싼 하이브와 카카오의 경영권 분쟁에 변곡점이 되는 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하이브가 일단 승기를 잡게 됐다는데요.<br><br>자세한 소식, 김태욱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법정싸움으로 번진 SM 경영권 인수전에서 법원이 오늘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손을 들어줬습니다. <br> <br>법원은 카카오를 상대로 낸 제 3자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을 '인용'했습니다. <br> <br>카카오가 계획한 SM 지분율 9.05% 확보가 무산된 겁니다. <br> <br>법원은 "SM이 긴급한 자금을 조달하면서까지 경영을 해야할 필요성이 없다"고 판단한 겁니다. <br> <br>이에 이수만 전 총괄 측은 "회사의 지배권에 영향을 미치려는 위법한 시도였음이 명확히 확인됐다"며 법원의 결정을 환영했습니다.<br> <br>이로써 SM 인수전에서 하이브가 완전한 승기를 잡게 된 셈입니다. <br> <br>하이브는 이수만 전 총괄의 지분 14.8%를 확보해 이미 SM의 최대주주입니다. <br> <br>비록 지난 1일 마감된 공개매수를 통해 15%를 갓 넘어, 추가 지분 확보의 목표치는 실패했지만 큰 문제 없습니다. <br> <br>앞으로 넘어야 할 산은 오는 31일 열릴 SM 주주총회에서의 표 대결입니다.<br><br>한편 카카오가 공개매수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이미 오를 만큼 오른 주가에 지출 규모가 대폭 늘어 쉽진 않지만 최대주주를 위협할 무기가 됩니다. <br> <br>[위정현 /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] <br>"(카카오가) 공개매수 등을 통해 다른 기관 투자자들이나 대주주들하고 연합전선을 펴는 것도 (공격) 방법이죠." <br> <br>이런 가운데 오늘 방시혁 하이브 의장은 미국 CNN과의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인수 의도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[방시혁 / 하이브 의장] <br>"나는 SM 같이 훌륭한 회사가 좋은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에 굉장히 오랫동안 슬퍼했던 사람이에요. (이번 인수로) 지배구조 문제를 대부분 해결했습니다." <br> <br>하이브는 향후 진행될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 결합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욱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천종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