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해안 산불 1년…'아물지 않은 상처'<br />[생생 네트워크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년 전 경북 울진에서 발생한 산불로 울진과 삼척 등에서 축구장 2만개 크기의 산림이 불타는 등 많은 피해가 났습니다.<br /><br />동해안 산불이 발생한 지 1년이 지났지만 그때의 상처는 아직 아물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정지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3월 4일,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에서 시작된 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삽시간에 번졌습니다.<br /><br />산불이 열흘 동안 계속되면서 울진과 강원 삼척 지역이 화염과 연기로 뒤덮였습니다.<br /><br />1만4,140㏊, 축구장 2만 개가 넘는 면적의 산림이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주택 330곳을 비롯해 농업시설과 공공시설 등 600여 곳에 피해가 났습니다.<br /><br />1년이 지난 지금도 곳곳에 화마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민 181가구 중 새로 집을 지은 17가구만 복귀했을 뿐, 아직도 160여 가구는 임시 주택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밥을 해 먹으려면 그릇을 여기 뒀다 저기 뒀다 해야하는 그런 것도 좀 힘들고 욕실이 너무 작으니까 들어서 내놓고 또 씻어야 하고…"<br /><br />송이를 캐 생계를 꾸리던 주민들도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송이 채취량은 3t으로, 예년의 4분의 1 수준 밖에 안 됩니다. 이 지역에서 이런 상황은 앞으로도 수 십년간 계속됩니다.<br /><br /> "한 60년 이상 내가 송이를 채취해서 먹고살았는데 앞으로 30~50년 동안엔 송이 냄새도 못 맡아 볼 정도니까…"<br /><br />경북도와 울진군이 산불 피해 지역에서 재건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피해 면적이 워낙 큰 탓에 속도가 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산불 피해 지역에 산림 응급복구를 위한 벌채 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1월부터 진행된 벌채 작업은 전체 750ha 중 절반(432㏊) 정도가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올해부턴 국유림과 사유림 1만2,600여㏊에 순차적으로 나무를 심을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대형 산불 피해를 막기 위한 대응 체제도 변화했습니다.<br /><br />초기 대응과 피해 수준에 따라 1, 2, 3단계로 나눴던 기존 산불 대응 단계에 4단계가 추가돼 앞으론 초대형 산불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체계가 작동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.<br /><br />#동해안산불_1년 #울진_삼척 #초대형산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