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에 한국과 독일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과 네덜란드가 수출 통제에 동참해 중국의 반도체 생산이 이미 어려워진 상황인데, 우리까지 참여시켜 압박 수위를 더 높이겠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정부는 중국의 첨단 반도체 생산을 막기 위해 지난해 10월 반도체 장비 수출을 규제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조치에 미국은 물론 네덜란드와 일본 기업까지 참여해 중국의 반도체 생산 능력이 타격을 입었는데, 여기에 한국을 동참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유력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, CSIS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을 유지하려면 독일과 한국이 수출통제에 합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반도체 장비를 생산하는 모든 국가의 대중국 수출을 봉쇄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: 독일과 우리나라까지 포함 시킨다는 것은 세계에서 반도체 장비를 만들 수 있는 국가는 아예 모두 미국 통제하에 넣겠다, 그렇게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이 같은 조치가 현실화하면 우리 반도체 장비업계는 매출 손실이 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중국에 수출한 국내 반도체 장비 규모는 13억7000만 달러로, 2021년 22억5800만 달러와 비교해 40%가 줄었는데, 여건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커진 겁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수출 장비의 대부분은 중국 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공장에 들어가는 물량이란 점에서 미국의 의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상식 /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 : (국내 기업용이란 사실을) 알고 했다면 1년간 유예됐던 삼성과 SK하이닉스 공장의 업그레이드나 생산량에 대해 어느 정도 조금은 통제를 하고 싶어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최근 미국 측은 삼성과 SK 하이닉스에 줬던 반도체 수출통제 1년 유예 기간을 더 연장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앨런 에스테베스 / 미 상무부 산업안보 차관 : 중국 내에서 기업들이 생산할 수 있는 반도체 수준에 한도를 둘 가능성이 큽니다. 지금 기업들이 생산하는 기술 범위의 어느 수준에서 멈춰야 할 겁니다.] <br /> <br />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중국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정부 설득에 주력하고 있지만, 미국의 중국 견제는 갈수록 수위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0516000800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