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의 물가 안정 동참 압박에 식품업체들이 줄줄이 가격 인상 계획을 철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식품 업체들의 눈치 보기가 시작된 건데 소비자들에겐 반가운 소식이지만, 인위적인 물가 압박이 부작용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달부터 가격이 또 오르는 제품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롯데칠성음료는 아이시스 출고가를 15%가량 올렸고, 제주도개발공사도 제주 삼다수 가격을 평균 9.8% 인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명순 / 서울 신사동 : 남편들 월급 타오는 거에 맞춰서 장을 보려고 하니까, 물가는 비싸고 월급은 안 오르고 거기에 맞춰서 싼 거 저렴한 거 고르게 되는 거예요.] <br /> <br />편의점에서 사 먹는 아이스크림 가격도 오릅니다. <br /> <br />빙그레의 메로나와 비비빅, 해태의 누가바, 쌍쌍바, 바밤바 등은 기존 1,300원에서 1,500원이 됐고, 롯데제과의 월드콘과 설레임, 찰떡 아이스 등은 2,200원으로 10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서도 꺾이지 않는 물가에 정부는 식품업체에 물가 안정 동참을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농림축산식품부는 CJ제일제당과 오뚜기 등 식품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올해 상반기 가격 인상 자제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간담회 3일 만에 CJ제일제당은 고추장과 쇠고기 다시다 등 일부 조미료 편의점 출고가 인상 계획을 돌연 철회했습니다. <br /> <br />CJ제일제당은 원가와 비용 부담은 여전하지만,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덜기 위해 제품 가격을 인상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풀무원도 앞서 생수 가격 인상 계획을 잠정 보류했고, 다음 달 주세가 오르면서 출고가 조정이 불가피했던 주류 업체들도 정부의 원가 실태조사 착수 이후 당분간 가격 인상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정부 압박이 통한 셈인데 일시적으로 가격을 억눌러 물가가 안정돼 보이는 착시 효과가 나타날 순 있어도, 장기적으로 더 큰 충격을 불러올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박 진 /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: (물가 인상) 고통을 시기를 두고 분산하면서 인상하는 것이 맞지, 이것을 한꺼번에 눌러놓게 되면 스프링이 튀어 오르듯이 나중에 가격이 더 높게 올라가게 돼서 더 큰 충격을 받게 되는 것이죠.] <br /> <br />당장 인상된 생산 비용을 제품에 반영하지 못해 손실을 떠안게 되는 식품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0605272379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