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한국이 먼저 손을 내밀었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한일관계 새 시대 열겠다며 일제 강제징용 배상 해법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일본도 일단 호응하면서 오늘 한국과 일본 모두 긴박하게 움직였는데요. <br> <br>우리가 내놓은 해법, 우회로를 찾았습니다. <br> <br>배상은 우리나라 기업이 참여하는 재단이 하되, 대신 일본 전범기업들은 미래청년기금에 참여토록 유도하는 방식인데요. <br> <br>결단이라는 평가와 굴욕이라는 평가가 엇갈립니다. <br> <br>2018년 10월 대법원 배상 판결 이후 꽉 막혔던 한일 관계 돌파구가 될지 집중 전해드리겠습니다. <br> <br>정부 발표 내용부터 김윤수 기자가 시작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우리 정부가 오늘 제시한 해법은 '제 3자 변제'입니다. <br> <br>'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'이 일본 피고 기업을 대신해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에게 판결금을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우회로를 선택한 겁니다. <br> <br>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원고는 총 15명으로 한 명당 최대 2억1000만 원의 배상금이 지급됩니다. <br><br>정부는 지연이자 등을 합친 약 40억 원의 돈을 포스코, 한국전력 등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당시 수혜를 입은 기업 16곳의 자발적 기부를 통해 마련하기로 방침을 정했습니다.<br> <br>또, 우리 정부는 한일 재계 대표인 전경련과 게이단렌을 중심으로 양측 기업이 자발적으로 돈을 내는 '미래청년기금' 창설 계획도 밝혔습니다. <br> <br> 양국 청년 교류 증진에 사용될 기금으로 일본 기업들에게 사실상 간접 배상을 유도하는 길을 마련한 겁니다. <br><br>한일 외교 소식통은 "미쓰비시중공업, 일본제철 등 일본 피고기업들의 기금 참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[박진 / 외교부장관] <br>"물 컵에 물이 절반 이상은 찼다고 생각을 합니다.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에 따라서 그 물 컵은 더 채워질 것으로 기대합니다." <br><br>이에대해 일본 정부는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앞으로도 이어가겠단 뜻을 표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기범 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김윤수 기자 y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