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쉽게 볼수 있던 문방구였는데, 최근엔 잘 안 보이죠. <br> <br>학생은 갈수록 줄어들고, 대형 체인점에 치이기까지 하니, 학교 앞 동네 문방구들이, 줄줄이 폐업에 내몰리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김태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늘 학생들로 붐볐던 학교앞 문방구. <br><br>학용품을 사고, 골목식품도 사먹고, 오락실 대신 간단한 게임도 즐기는 아이들의 사랑방이었습니다.<br> <br>요즘은 사정이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하굣길, 아이들은 문방구를 지나쳐 곧장 학원으로 갑니다. <br> <br>40년째 학교 앞을 지켜온 터줏대감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입니다. <br> <br>[서상권 / 문방구 운영] <br>"요전에는 학교 많이 다닐 때는 이 도로가 빡빡했는데 앞에, 지금은 뭐 한두 명 지나가고…" <br><br>2010년 330만 명이던 초등학생 수는 지난해 266만 명까지 급감한 상황.<br><br>교보재 같은 준비물에 학용품까지 요즘은 학교에서 다 주다보니 문방구 찾을 일은 더 없습니다. <br> <br>[장형철 / 서울 서대문구] <br>"작년 언니 때는 학용품을 학교에서 안 줬는데 올해부터는 전 학년에 걸쳐서 전부 다 무료로 학용품을 나눠주게 됐습니다." <br> <br>가격 경쟁력이나 편리함에서도 생활용품 체인점이나 24시간 무인문구점, 온라인 쇼핑몰에 밀립니다. <br> <br>[김로아 / 서울 서대문구] <br>"인터넷에서 사면 문구점보다 더 종류도 많고 더 싸고 배송도 빨라요." <br> <br>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늘면서 문 닫는 문방구도 늘고 있습니다. <br><br>지난 주 문을 닫은 이 문구점 앞에는 미처 정리하지 못한 집기들과 함께 주민이 쓰고 간 쪽지가 남겨져 있습니다.<br> <br>[박주희 / 서울 서대문구] <br>"사라진 문구점은 제가 어렸을 때도 이용했던 곳이고 굉장히 오래 하셨던 곳이라서 사라지게 돼서 많이 아쉬운 것 같습니다" <br> <br>인구 감소와 환경 변화로 학교 앞 문방구들이 추억 속으로 사라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