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강제동원 생존 피해자 "정부안 철회"…정부는 "청취"

2023-03-07 0 Dailymotion

강제동원 생존 피해자 "정부안 철회"…정부는 "청취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강제동원 배상 문제 관련, 정부가 내놓은 해법안에 대한 파장이 그 다음날에도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생존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정부안을 수용할 수 없다며 철회를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외교부는 개별 소통과 설득에 나서겠다고 밝혔는데, 갈등이 봉합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강제동원 피해자 지원단체들은 정부가 내놓은 해법을 조목조목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대법원에서 배상 책임을 인정한 일본 전범기업이 아닌 정부 산하 재단이 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은 "판결 불복"이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1998년 김대중-오부치 선언을 계승하는 것과 피해자들이 요구한 강제동원 공식 인정은 "무관하다"고도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구순을 넘긴 할머니들은 분통을 터뜨렸습니다.<br /><br /> "그런 것은 굶어 죽어도 안 받아요. 내가 왜 그런 돈을 받아요. 더러운 돈은 안 받아요."<br /><br /> "공부도 하고 일을 하면 돈도 준다고 그렇게 꼬셔서 데리고 가서 평생 골병들게 만들어놓고 지금은 나몰라라 하고 있으니, 우리는 어디다 대고 하소연을 합니까…"<br /><br />피해자 지원단체들은 "전범 기업으로부터 직접 배상금을 받을 수 있게 필요한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만약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을 법원에 맡기는 공탁에 나설 경우 이를 무효화하는 절차에 나설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외교부는 피해자들에게 대법원 판결에 따른 권리를 당연히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리고 설득 작업도 지속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 "정부 차원의 그간의 노력과 정부 입장, 그다음에 피해자 측의 의견을 청취하고 그분들의 이해를 높이고 또한, 동의를 구하는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입니다."<br /><br />외교부는 대법원에서 확정판결을 받은 피해자 15명 가운데 연락이 끊긴 2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피해자들에게 정부안을 설명하는 절차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