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 강제징용 배상 해법을 발표한 정부가 이번 주부터 피해자들을 만나 소통을 시작하는 등 후속조치에 착수합니다. <br /> <br />또 한일 간의 전략 협의 채널 복원을 모색하는 등 냉각됐던 한일 관계 복원도 시동을 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제 강제징용과 관련해 대법원에서 승소가 확정된 피해자는 모두 15명. <br /> <br />외교부는 판결금을 지급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과 함께 이번 주부터 피해자들을 만나 정부의 해법을 설명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피고기업 대신 재단이 확정판결 피해자에게 판결금과 지연이자를 지급하겠다는 정부의 해법에 따른 후속조치입니다. <br /> <br />[임수석 / 외교부 대변인 : 피해자들을 접촉해서 지금까지의 정부의 입장과 경과 등을 소상하게 설명드리고, 진정성 있는 자세로 이분들의 이해를 돕고 동의를 구하는 노력을 해나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15명이 받게 될 판결금과 지연이자는 약 40억 원. <br /> <br />다만 피해자 측 2명은 아직까지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재원은 민간기업의 자발적 기여를 받아 조성하는데, 대상은 포스코와 한국도로공사 등 한일청구권 자금 수혜 기업 16곳이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각종 전략 협의 채널 복원 등 얼어붙은 한일 관계 정상화도 시동을 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일 외교 차관급 전략대화가 우선 고려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중장기 관점에서 지역과 전세계 이슈를 폭넓게 협의하는 채널로 2005년 시작됐지만 2014년 이후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일 외교·국방부의 '2+2' 형식 대화체인 안보정책협의회도 1998년 시작돼 꾸준히 열렸지만 2018년 이후에는 열리지 않아 복원이 추진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박 진 / 외교부 장관(어제) : (한일 간의) 경색된 관계를 방치하지 않고 국익 차원에서 국민을 위해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다만 반쪽짜리 강제징용 해법이란 비판 여론이 여전해 한일 관계 복원이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현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신현준 (shinhj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30721463102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