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발 긴축 우려에 코스피·코스닥 동반 하락 <br />코스피, 기관·외국인 순매도에 1.28% 하락 <br />원-달러 환율, 22원 오른 1,321.4원으로 마감<br /><br /> <br />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강한 매파적 발언을 내놓으면서 국내 금융시장도 크게 흔들렸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1%대 내림세를 보였고, 원-달러 환율은 20원 넘게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. 조태현 기자! <br /> <br />국내 금융시장 상황이 어땠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금융시장은 미국발 긴축 우려에 장 초반부터 휘청였습니다. <br /> <br />1%대 낙폭은 장중 내내 이어졌고, 결국, 어제 종가보다 1.28% 하락한 2,431.91로 거래를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개인이 9천억 원 넘는 순매수에 나섰지만, 기관과 외국인의 쌍끌이 순매도를 이겨내진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또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하루 만에 22원이나 폭등한 1,321.4원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시장의 불안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발언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, 최종 금리 수준이 이전 전망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는데요, <br /> <br />이번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에서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가 아닌 0.5%포인트 인상하고, 긴축을 더 오래 이어갈 수 있다는 공포가 시장을 덮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미국에 한발 앞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는데, 국내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국 가운데 가장 먼저 금리 동결에 나선 건데요, <br /> <br />물가 변동에 불확실성이 크고 경기 둔화가 심상치 않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1.25%포인트로 벌어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인데요, <br /> <br />미국의 기준금리가 더 높아지면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로 자금이 쏠리고 이에 따라 원-달러 환율이 치솟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미국이 이번 달 FOMC에서 이른바 '빅 스텝'을 단행한다면 한-미 기준금리 역전 폭은 1.75%포인트까지 커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를 두고 일각에선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선 기준금리를 다시 올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수출과 소비가 모두 부진한 상황 속에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주춤한 상태라,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0816302951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