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의 외교일정이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달 중순 한일 정상회담이 추진되는 가운데, 다음달 미국 방문도 확정됐습니다. <br> <br>12년 만에 국빈 자격 방문입니다. <br> <br>바이든 미 대통령 취임 후 지금까지 국빈 초청은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유일합니다. <br> <br>조영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이 다음달 말 조 바이든 미 대통령 초청으로 미국을 국빈 방문합니다. <br> <br>한미 정상회담은 다음달 26일로 확정됐는데,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는 공동성명 발표도 협의 중입니다. <br> <br>김은혜 대통령 홍보수석은 "미래를 향해 '행동하는 한미동맹'이 이번 국빈 방문의 기조"라며 "동맹이 진화하는 역사적인 전기가 될 것" 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국빈 방문은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입니다.<br><br>외국 정상의 방문 형식 가운데 최고 수준의 예우로 의장대 사열과 국빈 만찬이 진행되고 영빈관인 '블레어 하우스'가 숙소로 제공됩니다. <br> <br>양국 실무진은 의제 조율에 착수했습니다. <br><br>북핵 대응을 위한 확장억제 방안과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이 의제로 오를 전망입니다. <br> <br>[김성한 / 국가안보실장] <br>"반도체법과 같은 미국의 산업정책이 이행되는 과정에서 주요 동맹국인 한국 기업들이 불공평한 대우를 받거나 예기치 못한 불확실성에 직면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…"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한미동맹 재건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국민의힘 전당대회] <br>"세계적 복합 위기, 북핵 위협을 비롯한 엄혹한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미일 3국의 협력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반드시 직시해야 합니다." <br> <br>정부 고위당국자는 방미 기간 윤 대통령의 미국 상하원 합동 연설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