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2027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관람차 '서울링'(Seoul Ring)이 들어섭니다. <br /> <br />서울링은 기존 대관람차와 달리 바큇살이 없는 고리 형태로, 높이가 180m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서울링을 서울의 관문이자 재활용 에너지를 사용해 친환경 정책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거듭나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시는 하늘공원이 서울의 관문이자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까워 남북통일 시대 새로운 관문으로서 상징성을 지닌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강뿐 아니라 서울 도심, 남산, 북한산의 자연 경관을 조망할 수 있고 쓰레기 매립지라는 과거와 연계해 서울이 지향하는 '탄소 제로(0)'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최적지로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는 서울링을 기존 전통적 방식의 살(Spoke)이 있는 관람차 디자인에서 탈피해 규모 180m 내외의 살 없는(Spokeless) 고리 형태로 고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디자인 검토 과정에서 국내외 대관람차 설계업체, 대형 건설사 자문을 거쳐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시는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관람차 규모 180m는 아랍에미리트의 아인 두바이(폭 257m)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이나 살이 없는 고리형 디자인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링 탑승 가능 인원은 시간당 1,474명, 1일 최대 1만1,792명입니다. <br /> <br />연간으로는 약 350만 명 이상의 관광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시는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시는 서울링을 단순 유희시설을 넘어 난지도의 역사적 의미를 경험하게 하고 각종 축제와 프로그램이 열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링이 순환경제와 기후행동의 세계적 상징물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신 친환경 기술을 적용할 방침인데, 마포 자원회수시설과 연계해 재활용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 /> <br />시는 또 대중교통 연계가 미흡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친환경 자율주행버스 등 교통수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, 곤돌라와 경사형 엘리베이터 설치도 적극 검토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링 조성 사업은 2025년 6월 착공해 2027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추진됩니다. <br /> <br />올해 6월 민간제안서를 접수하고 시 내부 검토를 거쳐 내년에 공공투자관리센터 적격성 조사, 기획재정부 민간투자 심의, 시의회 동의 등 후속 절차를 밟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종균 (chong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30810491593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