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성능과 주행거리를 속이는 허위 매물, 없는데 있는 척하는 미끼 매물. <br><br>이런 것들로 속이고 강매까지 하는 중고차 사기가 극성입니다.<br> <br>정부가 5월까지 특별 단속에 나섭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동영상 검색 사이트에 '중고차 허위매물'이라고 치자 수많은 제보 영상이 쏟아집니다. <br><br>있지도 않은 차량을 등록하거나 성능이 떨어지는 차를 신차로 둔갑시키는 중고차 사기를 고발하는 영상들입니다. <br> <br>이런 영상을 볼 때마다 양 씨는 2년 전 기억이 떠오릅니다. <br> <br>풀 옵션 차량을 싸게 판다는 온라인 게시글을 보고 찾아간 수원 근처 중고차 매매단지. <br><br>양 씨가 차를 보여달라고 하자 판매자의 태도가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[양모 씨 / 중고차 허위매물 피해자] <br>"두 젊은 친구들이 계속 팔을 걷고 문신을 계속 보여주더라고요. 거의 납치·감금당하다시피 온갖 골목을 한 30분 동안 뺑뺑이 돌았어요." <br> <br>경찰과 추격전을 벌인 끝에 겨우 풀려났습니다. <br> <br>실제로 이런 피해사례는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중고차 거래앱 이용자에게 물었더니 5명 중 1명 꼴로 중고차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습니다. <br><br>차량 성능이나 점검 내용이 실제와 다른 경우가 가장 많았고 허위·미끼매물이 뒤를 이었습니다.<br><br>정부 실태조사에서도 4만km를 달린 차를 4500km 주행했다고 속여 팔거나, 저렴한 트럭을 찾는 사람에게 다른 트럭을 고가에 <br>팔아넘기는 식의 사례가 속출했습니다.<br> <br>정부는 이달부터 5월 말까지 특별 단속에 나서 위법행위가 발견되면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거나 수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중고차 피해를 피해를 입었거나 미끼 매물이 의심된다면 국민신문고 민원신청이나 지자체 콜센터로 누구나 신고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한일웅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